
WAS WAS는 동적 콘텐츠나 DB 조회가 필요한 데이터를 웹 서버가 받을 시 해결해준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정적 콘텐츠의 Request가 들어오면 웹 서버가 처리해준다.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Request가 정적 콘텐츠가 아닌 동적 콘텐츠라면 WAS에게 보낸다. 정적 콘텐츠 : HTML, CSS, IMG 등 동적 콘텐츠 : JSP, ASP, PHP 등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WAS는 Web Server와 Web Container가 결합한 형태이다. Web Container는 JSP와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아 Web Server로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Web Container는 중간 관리자 느낌의 소프트웨어이고 우리는 이..

Gradle Gradle은 오픈소스 빌드 자동화 도구다. *빌드 도구라고 생각하면 된다. Gradle은 *Groovy를 이용한다. 🧐 Groovy Groovy는 JAVA에 파이썬 등의 특징을 더한 동적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다. JAVA에 각종 언어의 특징을 모아놓은 언어로 JAVA와 아주 비슷하고 JAVA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사용한다. JAVA와 호환이 되며 JAVA 클래스 파일을 그대로 Groovy 클래스로 사용할 수 있다. 🧐 빌드 도구 빌드 도구는 소스 코드 파일들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해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Groovy와 빌드 도구에 대해 알아봤으니 다시 한번 Gradle가 어떤 건지 보자. Gradle은 Groovy 기반의 오픈소스 빌드..

AWS AWS는 Amazon Web Services의 약자로, 다양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의미한다.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컴퓨팅의 일종으로,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서버, 스토리지 등 컴퓨팅 자원에 대해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하며 공유가 가능하다. AWS EC2 AWS EC2는 Amazon Elastic Computer Cloud의 줄임말로써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컴퓨팅 파워의 규모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는 원격 웹 서비스다. 또한 사용한 시간만큼만 요금을 지불하도록 서비스가 구성되어 있어 개발자가 보다 쉽게 웹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작업..

세션 세션은 일정 시간 동안 같은 브라우저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서버에서 가지고 있는 정보 각 클라이언트에게 고유 세션 ID 부여 만료 시점은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유지 쿠키 쿠키는 어떤 웹 사이트 방문 시, 브라우저의 정보를 로컬에 저장한 파일을 말한다. 브라우저(로컬)에서 가지고 있는 정보 고유 세션 ID를 쿠키에 저장 만료 시점은 쿠키 저장 시 설정 💦세션과 쿠키를 왜 사용할까?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통신 방식인 HTTP 통신의 보안성 때문에 사용한다. tmi) 보안성은 JWT 토큰이 보다 더 우수하다. ⭕ 이미 다룬 내용이지만 잠깐 짚고 넘어가자! 자세한 내용을 원한다면? HTTP의 개념과 HTTPS와의 차이점 ❗ HTTP의..

HTTP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HTML을 포함한 여러 파일 등을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팀 버너스리가 속한 팀이 HTML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저 및 웹 브라우저 관련 기술과 HTTP를 발명 문서화된 최초의 HTTP버전은 HTTP v0.9(1991년) HTTPS HTTPS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의 약자로 보안이 강화된 HTTP이다. HTTP는 암호화되지 않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 HTTPS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 HTTP의 특징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무상태 프로토콜 비연결성 1️⃣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에 응답한다. Request / Re..

실행 컨텍스트 실행 컨텍스트는 소스코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고 코드의 실행 결과를 실제로 관리하는 영역이다. 식별자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스코프와 코드 실행 순서 관리를 구현한 내부 메커니즘으로, 모든 코드는 실행 컨텍스트를 통해 실행되고 관리된다. 전역 코드 함수 코드 eval 코드 모듈 코드 소스코드의 평가와 실행 모든 소스코드는 실행에 앞서 평가 과정을 거치며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평가 과정 소스코드의 평가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하고 변수, 함수 등의 선언문만 먼저 실행하여 생성된 변수나 함수 식별자를 키로 실행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스코프에 등록한다. 소스코드의 실행 런타임이 시작되고 이때 소스코드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실행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스코프에서 검색해서 취득한다...

var로 선언한 변수의 문제점 변수 중복 선언 허용 함수 레벨 스코프 변수 호이스팅 📙 변수 중복 선언 허용 var x = 1; var y = 1; var x = 100; var y; // 초기화 없는 변수 무시 console.log(x); // 100 console.log(y); // 1 동일한 이름의 변수가 이미 선언되어 있는 것을 모르고 값을 할당했다면 의도치 않게 값이 변경되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 함수 레벨 스코프 var x = 1; if(true) { var x = 10; // 전역 변수 } console.log(x); // 10 함수 레벨 스코프는 전역 변수를 남발할 가능성을 높인다. 이로 인해 의도치 않게 전역 변수가 중복 선언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 변수 호이스팅 console..
- Total
- Today
- Yesterday
- CPP
- 자바
- 구현
- 프로그래머스
- 해답
- OS
- C++
- 우종정
- 풀이
- 답
- 자바스크립트
- 쉽게배우는
- 정답
- 정렬
- BFS
- 알고리즘
- 연습문제
- 파이썬
- 정리
- 운영체제
- JS
- py
- 쉽게 배우는 자바 프로그래밍
- 백준
- 그리디
- 문자열
- java
- Web
- Python
- 쉽게배우는자바프로그래밍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