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에서는 웹 페이지 로딩 과정에서 발생하는 FOUC(Flash of Unstyled Content)와 FOUT(Flash of Unstyled Text) 현상에 대해 알아보고, 브라우저 렌더링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는 최적화 전략을 소개합니다. FOUC(Flash of Unstyled Content)와 FOUT(Flash of Unstyled Text) FOUC와 FOUT은 웹 페이지 로딩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스타일이 적용되지 않은 콘텐츠와 텍스트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현상입니다. 두 현상 모두 스타일 로드 및 적용 시점과 브라우저 렌더링 시점 간의 차이 때문에 발생합니다. FOUC는 일반적인 콘텐츠에, FOUT은 웹 폰트에 대한 스타일 적용 지연 때문에 발생합니다. FOUC - 일반적인 콘텐츠..

Keys React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key 속성을 지원한다. key를 통해 기존 트리와 비교하여 업데이트 이후 트리의 자식들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변경한다. 간단한 list를 map함수를 사용하여 예제를 들어보자! const Tooo1 = () => { const m = [1, 2, 3, 4]; return ( {m.map((v, i) => ( {v} ))} ); }; export default Tooo1;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 결과가 나온다. 너무 당연한 결과다. 정상적으로 코드가 실행되었다!! 그렇지만 브라우저에서는 경고를 보내고 있다. 경고의 원인은 map함수에 key 값을 안 넣어서 그렇다. Key 값을 왜 넣어야 할까? 우선 key는 React가 어떤 항목을 변경, 추가 또는 삭제..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 렌더링은 HTML, CSS,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된 문서를 파싱하여 브라우저에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파싱: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맞게 작성된 텍스트 문서를 읽어 들여 실행하기 위해 텍스트 문서의 문자열을 토큰으로 분해하고, 토큰에 문법적 의미와 구조를 반영하여 트리 구조의 자료구조인 파스트리를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 브라우저가 HTML, CSS, JS, 이미지, 폰트 파일 등 렌더링에 필요한 리소스를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응답 받음 HTML, CSS를 파싱하여 DOM, CSSOM을 생성하고 이들을 결합하여 렌더트리 생성 JS를 파싱하여 AST를 생성하고 바이트 코드로 변환하여 실행. 이때 JS는 DOM API를 통해 DOM이나 CSSOM을 변경 가능. 변경된 DOM과 C..
- Total
- Today
- Yesterday
- 그리디
- 풀이
- C++
- 프로그래머스
- 답
- 자바스크립트
- 해답
- 정답
- 운영체제
- 알고리즘
- 백준
- JS
- 파이썬
- 자바
- 문자열
- 연습문제
- BFS
- 쉽게 배우는 자바 프로그래밍
- OS
- 우종정
- Web
- 구현
- py
- Python
- CPP
- 쉽게배우는자바프로그래밍
- 정렬
- 쉽게배우는
- 정리
- jav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