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 객체 타입의 값은 변경 가능한 값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실제 값 저장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참조 값 저장 원시 값을 다른 변수에 할당 -> 값에 의한 전달 객체를 다른 변수에 할당 -> 참조에 의한 전달 원시 값 변경 불가능한 값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만 가능하고 변경 불가하다. 위 코드를 보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한다.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에 새로운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재할당 이전의 원시 값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원시 값을 저장한 후, 변수는 새롭게 재할당한 원시 값을 가리킨다. 이러한 특성을 불변성이라고 한다..

객체 객체란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이다. 프로퍼티 프로퍼티는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다. 프로퍼티 키 : 빈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문자열 또는 symbol 값 프로퍼티 값 :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 프로퍼티 키는 일반적으로 문자열을 사용 그렇지만 네이밍 규칙을 준수하는 이름인 경우 따옴표 생략 가능 프로퍼티 접근 프로퍼티 접근 방법 마침표 표기법 대괄호 표기법 var person = { name: 'Tooo1' }; console.log(person.name);// 마침표 표기법 console.log(person.['name']);//대괄호 표기법 프로퍼티 갱신 var person = { name: 'Tooo1' }; person.name = 'T' con..

암묵적 타입 변환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으로 변환 var x = 10; // 암묵적 타입 변환 var str = x + ''; console.log(typeof str, str); // string 10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코드에 타입 변환 의지가 드러나지 않는다. ∴ 타입 변환에 대해 예측 가능해야 한다. 명시적 타입 변환 개발자의 의도에 의해 타입을 바꾸는 방법이다. 표준 빌트인 생성자 함수(String, Number, Boolean)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 빌트인 메서드 사용 암묵적 타입 변환 사용 표준 빌트인 생성자 함수(String, Number, Boolean)를 new 연산자 없이..

1.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 모든 브라우저는 자바스크립트를 해석하고 실행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내장하고 있다.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Node.js도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내장하고 있다. → 따라서 자바스크립트는 브라우저 환경 또는 Node.js 환경에서 실행 가능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자바스크립트가 브라우저와 Node.js에서 동일하게 동작하지만 둘의 용도는 다르다. 브라우저 = HTML, CSS, JS를 실행해 웹 페이지를 화면에 렌더링 하는 것이 목적 Node.js = 브라우저 외부에서 JS 실행 환경 제공이 목적 정리하자면 브라우저와 Node.js는 위 사진과 같이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을 제공해주는 건 같지만 서로의 역할이 존재한다. 2. 웹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 콘솔 ERROR가..
- Total
- Today
- Yesterday
- BFS
- JS
- 프로그래머스
- 구현
- 자바스크립트
- 답
- 풀이
- 정리
- 연습문제
- 정렬
- 파이썬
- 쉽게 배우는 자바 프로그래밍
- Web
- 알고리즘
- 백준
- 정답
- java
- 자바
- 운영체제
- 해답
- 쉽게배우는자바프로그래밍
- 문자열
- 그리디
- py
- Python
- 우종정
- 쉽게배우는
- OS
- CPP
- 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