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코프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를 말한다. 스코프 =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 스코프가 필요한 이유 스코프라는 개념이 없다면 같은 이름을 갖는 변수는 충돌을 일으키므로 프로그램 전체에서 하나밖에 사용할 수 없다. var x = 'global'; function foo() { var x = 'local'; console.log(x); } foo();//local console.log(x);//global 같은 var x임에도 서로 다른 결과를 도출한다. ☞ 스코프 개념에 의해 발생한 일 스코프 종류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따라 스코프가 결정된다. 전역 스코프 : 전역에서 선언된 변수 지역 스코프 : 지역에서 선언된 변수 스코프 체인 함수는 중첩이 가능하고 ..

함수 코드의 집합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다. 풀어쓰면 일련의 과정을 문으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것이다.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유지보수의 편의성 코드의 신뢰성 코드의 가독성 함수 정의 함수 선언문 함수 표현식 Function 생성자 함수 화살표 함수 (ES6) 함수 선언문 // 함수 선언문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 함수 호출 console.log(add(2, 5)); // 7 함수 선언문은 함수 이름을 생략할 수 없다. // 함수 선언문은 함수 이름을 생략할 수 없다. function (x, y) { return x + y; } // SyntaxError: Function statements require a function..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 객체 타입의 값은 변경 가능한 값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실제 값 저장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참조 값 저장 원시 값을 다른 변수에 할당 -> 값에 의한 전달 객체를 다른 변수에 할당 -> 참조에 의한 전달 원시 값 변경 불가능한 값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만 가능하고 변경 불가하다. 위 코드를 보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한다.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에 새로운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재할당 이전의 원시 값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원시 값을 저장한 후, 변수는 새롭게 재할당한 원시 값을 가리킨다. 이러한 특성을 불변성이라고 한다..

객체 객체란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이다. 프로퍼티 프로퍼티는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다. 프로퍼티 키 : 빈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문자열 또는 symbol 값 프로퍼티 값 :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 프로퍼티 키는 일반적으로 문자열을 사용 그렇지만 네이밍 규칙을 준수하는 이름인 경우 따옴표 생략 가능 프로퍼티 접근 프로퍼티 접근 방법 마침표 표기법 대괄호 표기법 var person = { name: 'Tooo1' }; console.log(person.name);// 마침표 표기법 console.log(person.['name']);//대괄호 표기법 프로퍼티 갱신 var person = { name: 'Tooo1' }; person.name = 'T' con..

암묵적 타입 변환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으로 변환 var x = 10; // 암묵적 타입 변환 var str = x + ''; console.log(typeof str, str); // string 10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코드에 타입 변환 의지가 드러나지 않는다. ∴ 타입 변환에 대해 예측 가능해야 한다. 명시적 타입 변환 개발자의 의도에 의해 타입을 바꾸는 방법이다. 표준 빌트인 생성자 함수(String, Number, Boolean)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 빌트인 메서드 사용 암묵적 타입 변환 사용 표준 빌트인 생성자 함수(String, Number, Boolean)를 new 연산자 없이..

블록문 블록문은 0개 이상의 문을 중괄호로 묶은 것이다.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나 제어문이나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건문 조건문은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코드 블록의 실행을 결정한다. if ...else 문 if (조건식1){ // 조건식1이 true 일때 실행 } else if (조건식2){ // 조건식2가 true일때 실행 } else { // 전부 false이면 실행 } switch 문 switch (표현식) { case 표현식1: /* code */ break; default: break; } 반복문 반복문은 조건식의 평가 결과가 참인 경우 코드 블록을 실행한다. for 문 조건식이 거짓이 될 때까지 코드 블록을 반복 실행한다. for(int i=0; i < 2; i++){ c..

연산자 연산자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든다. 1. 산술 연산자 (1) 이항 산술 연산자 연산자 의미 +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 나머지 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든다. (2)단항 산술 연산자 연산자 의미 ++ 증가 -- 감소 + 아무 효과 없음 - 양수/음수 반전 1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든다. (3)문자열 산술 연산자 //문자열 연결 연산자 '1'+2; // ->'12' //true는 1로 타입 변환 1 + true; //false는 0으로 타입 변환 1 + false; //null은 0으로 타입 변환 1 + null; + 연산자는 피연산자 중 하나 이상이 문자열인 경우에..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은 값의 종류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가진다. 자바스크립트(ES6)는 7개의 데이터 타입을 제공한다. 구분 데이터 타입 설명 원시 타입 숫자(number) 타입 숫자, 정수와 실수 구분 없이 하나의 숫자 타입만 존재 문자열(string) 타입 문자열 불리언(boolean) 타입 논리적 참(true)과 거짓(false) undefined 타입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암묵적으로 할당되는 값 null 타입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명시할 때 사용하는 값 심법(symbol) 타입 ES6에서 추가된 7번째 타입 객체 타입 객체, 함수, 배열 등 숫자 타입 - 정수와 실수를 구분하지 않는다. - 자바스크립트는 모든 수를 실수로 처리한다. - 정수, 실수, 2진수..

1. 값 값은 식(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한다. 내가 값의 정의를 알고 있었나....? 왜 처음 보는 것 같지 (충격) 2. 리터럴 리터럴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or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이다. //숫자 리터럴 3 리터럴 예시 비고 정수 리터럴 100 부동소수점 리터럴 10.5 2진수 리터럴 0b01000001 0b로 시작 8진수 리터럴 0o101 ES6에서 도입. 0o로 시작 16진수 리터럴 0x41 ES6에서 도입. 0x로 시작 문자열 리터럴 'Hello' "Hello" 불리언 리터럴 true false null 리터럴 null undefined 리터럴 undefined 객체 리터럴 { name: 'Lee', address: 'Seoul' } 배열 리터럴 [ ..

1. 변수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간단히 말해서 값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징적인 이름이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억하고 싶은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한다. 이때 메모리에 저장한 값을 재사용하기 위해 변수라는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변수 이름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값이 저장된 메모리 공간에 붙인 상징적인 이름이다. 2. 식별자 변수 이름을 식별자라고도 한다. 식별자는 어떤 값을 구별해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이름이다. - 값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기억한다. - 메모리 상 존재하는 식별 가능한 이름은 전부 식별자라 부른다. 3. 변수 선언 변수 선언은 변수 생성이다.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언이 필요하..
- Total
- Today
- Yesterday
- 쉽게배우는자바프로그래밍
- C++
- 파이썬
- 운영체제
- java
- 정답
- OS
- 알고리즘
- 문자열
- 연습문제
- 정렬
- 풀이
- 자바스크립트
- 쉽게배우는
- CPP
- 구현
- BFS
- 우종정
- 백준
- 해답
- 프로그래머스
- 정리
- JS
- 자바
- 쉽게 배우는 자바 프로그래밍
- 그리디
- 답
- Web
- py
- Pyth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