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QL SQL은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표준 질의어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다. 사용자가 처리를 원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만 제시하고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를 언급할 필요가 없어 비절차적 데이터 언어의 특성을 띤다고 할 수 있다. SQL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직접 접근하여 대화식으로 질의를 작성해 사용할 수도 있고, C나 C++ 또는 Java 같은 언어로 작성한 응용 프로그램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 SQL의 분류 데이터 정의어 (DDL) 테이블을 생성하고 변경, 제거하는 기능을 제공 데이터 조작어 (DML) 테이블에 새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 삭제,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 데이터 제어어 (DCL) 보안을 위해 데이터에 대한 접근 및 사용 권한을 사용자별..

연습문제 1. 릴레이션 A와 B가 합병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① 두 릴레이션의 인스턴스가 동일해야 한다. 2.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관계 대수는 수학의 프레디킷 해석에 기반을 두고 있다. 3. 관계 대수 연산자 중 종류가 다른 것은? ③ × 4. 릴레이션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투플들을 반환하는 관계 대수 연산자는? ① σ 5. 릴레이션에서 제시된 특정 속성들의 값으로만 구성된 투플을 반환하는 관계 대수 연산은? ② project 6. 릴레이션 R의 각 투플과 릴레이션 S의 각 투플을 모두 연결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투플을 반환하는 관계 대수 연산자는? ④ × 7. 공통 속성을 이용해 릴레이션 R과 S의 투플들을 연결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투플들을 ..

관계 데이터 연산 연산은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릴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요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데이터 언어의 역할을 한다. 관계 대수 :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기술 관계 해석 :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원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만 기술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은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한 처리 절차를 얼마나 자세히 기술하느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관계 대수는 절차 언어이고 관계 해석은 비절차 언어이다. *절차 언어 : 데이터의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기술 *질의 : 데이터에 대한 처리 요구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을 통해 새로운 데이터 언어가 제안되면 해당 데이터 언어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 관계 대수 관계 대수는 원하는 결과를 얻..

연습문제 1. 릴레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④ 릴레이션 스키마는 동적인 특징이 있고, 릴레이션 인스턴스는 정적인 특징이 있다. 2. 릴레이션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도메인은 릴레이션에서 전체 속성의 개수를 의미한다. 3. 릴레이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④ 모든 속성 값은 논리적으로 분해 가능한 복합 값이어야 한다. 4.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속성의 개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③ 차수 5. 릴레이션에서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릴레이션에 행에 해당한다. 6.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모든 튜플의 개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④ 카디널리티 7. 널 값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숫자 0이나 공..

연습문제 1.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④ 관계 2.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중 데이터 구조에 따라 실제로 표현된 값들을 처리하는 작업을 의미하는 것은? ② 연산 3. 데이터 모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빈칸에 적합한 것은? 데이터 모델은 논리적인 데이터 구조, 데이터 구조에서 처리가 가능한 연산, 데이터 구조와 연산에 대한 ( )을(를) 구성 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③ 제약조건 4. 논리적 데이터 모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개체-관계 데이터 모델 5. 개체-관계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② 사용하는 DBMS의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 6. 개체-관계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관계는 속성들에 대한 연관성을 의미한다. 7. 계층형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

데이터 모델링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모델을 세워야 하고 그 과정을 데이터 모델링이라 한다. 다시 말해 데이터 모델링이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컴퓨터 세계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기는 변환 과정을 말한다. *추상화 : 현실 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 (일정한 표기법에 의해 표현) 📗 변환 과정은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사용자에 초점을 맞추는 데이터 모델 - 현실 세계의 중요 데이터를 추출하여 개념 세계로 옮기는 작업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컴퓨터와 사용자 둘 다 고려하는 데이터 모델 - 개념 세계의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구조로 표현하는 작업 데이터 모델 데이터 모델이란 데이터 모델링의 결과물을 표현하는 도구이다. ..
- Total
- Today
- Yesterday
- CPP
- 문자열
- Python
- 파이썬
- 우종정
- 자바스크립트
- 그리디
- 자바
- C++
- 쉽게 배우는 자바 프로그래밍
- Web
- 정렬
- 답
- 풀이
- java
- 운영체제
- BFS
- 쉽게배우는
- 정답
- 백준
- JS
- 프로그래머스
- 알고리즘
- OS
- 구현
- py
- 연습문제
- 정리
- 해답
- 쉽게배우는자바프로그래밍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